보이는 넓이와 실제 넓이의 차이?(mask).
촉촉한 초코칩
특정 개체에 scroll바를 만들어서 작업을 하다가 문득 이걸 어찌해야 하나.. 해서..
고민중입니다.
main 이란 개체가 있습니다.
그안에
mc 란 개체가 있습니다.
mc._height 는 200입니다.
mcmask 란 개체이 있습니다.
mcmask._height 는 100입니다.
main.mc.setmask(main.mcmask) 로 마스크 지정을 하였습니다.
보이는 영역의 크기상으론 main._height는 당연히 100입니다.
그런데 actionscript의 main._height를 찍으면 200이 나옵니다.
이 사태를 어찌 처리해야할까요.
스크롤바가 움직여줄영역을 처리하는데 꽤나 골치아픕니다.
좋은 아이디어 있으신분..?
-
권시크
수다님덕에 깔끔하게 해결되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덥죽*
-
희선
수다님 아이디어가 좋네요 감사합니다. 그방법이 그래도 제일 융통성있게 쓸수있겠네용
-
너의길
메인에선 이렇게 하고
main.actualHeight = main.mcmask._height;
얘를 데려다 쓰는 넘은 그 안에 담긴 무비가 content라고할때
content.actualHeight가 있으면 그걸 쓰고, 없으면 content._height를 사용하고
이런식으로 약간만 바꿔주면 임시변통은 될 듯 하네요. -
샹1큼해
문제는.. 저 mc가 이미 그렇게 스크롤바가 적용된(mask도..) listclass인데 이것을 windowclass만들어놓은것에서 적용을 하려다보니.
windowclass에 저것 하나만의 하드코딩을 넣긴 그렇고.. 해서 고민이;;
windowclass의 body란 개체의 _height에 따라서 스크롤이 적용되고 있고..
body는 말그대로 그때그때 달라요 인것이다보니;; -
적송
그럼 마스크를 씌우지 않은 부분을 지운다음에 측정하면..?
-
초코맛캔디
200이 나오는 것이 당연한 것입니다. 제가 문에 살짝 얼굴만 들이밀었다고 얼굴만 있는 괴물이 아니듯이 원래의 _height 값이 나오는 것이 당연한 것이죠...
마스크와 스크롤바를 이용해서 스크롤 되는 무비를 만들고 싶다면 방정식을 잘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더 응용 해야 겠지만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겠죠.
mask_mc._height : main_mc._height = scrollBar_mc._height : scroll_mc.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