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켓 프로그래밍입니다
다옴
TCP에서는 상대방과 통신하기 위해 SYN 신호를 먼저 전송합니다. 아래의 소스 코드는 상대방으로 단순히 SYN 신호를 발생시키는 내용입니다.
주요한 부분에는 이미 주석을 처리했는데, 아무리 보아도 흐름을 파악할 수가 없습니다. 혹시 소켓 분야에 관심이 있는 분 계시다면 주요 주석의 순서에 따라 소스 코드의 동작 흐름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또한, 앞부분에 \ 표시는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지요? 빼도 동작에는 이상이 없을까요?
마지막으로 아래의 사진처럼 gcc로 컴파일하면 맨 마지막 줄에서 경고가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감사합니다.
//tcpsyn.c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include unistd.h
#include sys/types.h
#include sys/socket.h
#include netinet/in_systm.h
#include netinet/in.h
#include netinet/ip.h
#define __FAVOR_BSD
#include netinet/tcp.h
#include arpa/inet.h
#define CHKADDRESS(_saddr_) \
{\
u_char *p = (char *)&(_saddr_);\
if ((p[0] == 10)\
|| (p[0] == 168 && 16 = p[1] && p[1] = 31)\
|| (p[0] == 192 && p[1] == 168) )\
;\
else {\
fprintf(stderr, IP address error.\n);\
exit(EXIT_FAILURE);\
}\
}
enum {CMD_NAME, DST_IP, DST_PORT, SRC_IP, SRC_PORT, SEQ};
#define MAXDATA 1500
struct packet_tcp {
struct ip ip;
struct tcphdr tcp;
u_char data[MAXDATA];
};
void make_ip_header(struct ip *ip, int src_ip, int dst_ip, int len);
void make_tcp_header(struct packet_tcp *packet, int src_ip, int src_port,
int dst_ip, int dst_port, int seq, int ack, int datalen);
u_short checksum(u_short *data, int len);
int main(int argc, char *argv[])
{
struct packet_tcp send; //송신 TCP Packet
struct sockaddr_in dest; //출발지 주소
u_int src_ip; //출발지 IP 주소
u_int dst_ip; //목적지 IP 주소
u_short src_port; //출발지 Port 번호
u_short dst_port; //목적지 Port 번호
int s; //Socket File Descriptor
tcp_seq seq; //일련 번호
tcp_seq ack; //확인 응답 번호
int datalen; //Data Size
int iplen; //IP Header 길이
int on = 1; //ON
//인수 검사
if(argc != 6) {
fprintf(stderr, usage: %s dst_ip dst_port src_ip src_port seq\n, argv[CMD_NAME]);
exit(EXIT_FAILURE);
}
//RAM Socket Open
if((s = socket(AF_INET, SOCK_RAW, IPPROTO_RAW)) 0) {
perror(socket(SOCK_RAW));
exit(EXIT_FAILURE);
}
//임의 IP Header 작성
if(setsockopt(s, IPPROTO_IP, IP_HDRINCL, &on, sizeof(on)) 0) {
perror(setsockopt(IPPROTO_IP, IP_HDRINCL));
exit(EXIT_FAILURE);
}
//Header 값 설정
memset((char *) &dest, 0, sizeof(dest));
dest.sin_family = AF_INET;
dst_ip = dest.sin_addr.s_addr = inet_addr(argv[DST_IP]);
src_ip = inet_addr(argv[SRC_IP]);
sscanf(argv[DST_PORT], %hu, &dst_port);
sscanf(argv[SRC_PORT], %hu, &src_port);
sscanf(argv[SEQ], %ul, &seq);
ack = 0;
datalen = 0;
iplen = datalen + sizeof(send.ip) + sizeof(send.tcp);
//TCP/IP의 Header 설정
memset((char *) &send, 0, sizeof(send));
make_tcp_header(&send, src_ip,src_port, dst_ip,dst_port, seq,ack, datalen);
make_ip_header(&(send.ip), src_ip, dst_ip, iplen);
CHKADDRESS(dst_ip);
//SYN 신호 송신
printf(SYN send to %s.\n, argv[DST_IP]);
if(sendto(s, (char *)&send, iplen, 0, (struct sockaddr *) &dest, sizeof(dest)) 0) {
perror(sendto);
exit(EXIT_FAILURE);
}
close(s);Bse(s);
return EXIT_SUCCESS;
}
void make_tcp_header(struct packet_tcp *packet, int src_ip, int src_port, int dst_ip, int dst_port, int seq, int ack, int datalen)
{
//TCP Header 작성
packet-tcp.th_seq = htonl(seq);
packet-tcp.th_ack = htonl(ack);
packet-tcp.th_sport = htons(src_port);
packet-tcp.th_dport = htons(dst_port);
packet-tcp.th_off = 5;
packet-tcp.th_flags = TH_SYN;
packet-tcp.th_win = htons(8192);
packet-tcp.th_urp = 0;
//의사 Header 작성
packet-ip.ip_ttl = 0;
packet-ip.ip_p = IPPROTO_TCP;
packet-ip.ip_src.s_addr = src_ip;
packet-ip.ip_dst.s_addr = dst_ip;
packet-ip.ip_sum = htons(sizeof(packet-tcp) + datalen);
//검사합의 계산
#define PSEUDO_HEADER_LEN 12
packet-tcp.th_sum = 0;
packet-tcp.th_sum = checksum((u_short *)(&(packet-ip.ip_ttl)), PSEUDO_HEADER_LEN + sizeof(packet-tcp) + datalen);
}
void make_ip_header(struct ip *ip, int src_ip, int dst_ip, int iplen)
{
//IP Header의 작성
ip-ip_v = IPVERSION;
ip-ip_hl = sizeof(struct ip) 2;
ip-ip_id = 0;
#ifdef __linux
//Linux Raw IP의 경우
ip-ip_len = htons(iplen);
ip-ip_off = htons(0);
#else
ip-ip_len = iplen;
ip-ip_off = IP_DF;
#endif
ip-ip_ttl = 2;
ip-ip_p = IPPROTO_TCP;
ip-ip_src.s_addr = src_ip;
ip-ip_dst.s_addr = dst_ip;
//검사합의 계산
ip-ip_sum = 0;
ip-ip_sum = checksum((u_short *)ip, sizeof(struct ip));
}
u_short checksum(u_short *data, int len)
{
u_long sum = 0; //구하는 검사합
//2 Bytes씩 가산
for(; len 1; len -=2) {
sum += *data++;
if(sum & 0x80000000)
sum = (sum & 0xffff) + (sum 16);
}
//Data Size가 기수 Byte인 경우 처리
if(len == 1) {
u_short i = 0;
*(u_char*)(&i) = *(u_char *)data;
sum += i;
}
//항에 넘는 수는 되돌림
while(sum 16)
sum = (sum & 0xffff) + (sum 16);
return (sum==0xffff)?sum:~sum;
}
뱀발) 위의 소스 코드는 리눅스 환경에서 제작한 것입니다.
-
간조롱
\\는 컴파일러 문법인데.. 예전에 화면에서 한줄의 길이가 80이었던 시절에 \\
현재 줄이 다음 줄과 연결되었다는 걸 알리기 위한 문법이랍니다. ^^^^^^^^^^^^^ 이렇게요.
항상 \\는 그 줄의 마지막에 위치해야 합니다. 공백을 넣거나 하시면 에러나죠.
그리고 한가지 더..
선행처리기 문법은 씨문법이 쎄미콜른으로 끝나는 것과는 다르게 한 줄의 끝이 한 문장의 끝입니다.
현재는 #define 으로 매크로 함수 작성시 한 줄로 작성하기 어렵죠? -
어리버리
#define 정의에 \\ 문자가 붙은 것은 여러 줄을 한 줄처럼 인식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define은 한 줄에 대해서만 동작하기 때문이죠.
번호 | 제 목 | 글쓴이 | 날짜 |
---|---|---|---|
2692451 | 이 문제좀 풀어주세요 ^^ | 게자리 | 2025-04-23 |
2692424 | 2차원배열 자료입력질문이요! (1) | 똘끼 | 2025-04-22 |
2692401 | 유닉스안에서 C언어를 이용한 명함 만들기 입니다; 이해안가는 부분이있네요 | 2gether | 2025-04-22 |
2692374 | 고수님들 댓글 마니부탁해요!!! (2) | 엄지 | 2025-04-22 |
2692343 | scnaf에 자꾸 선언을 참조하라는데;; (8) | 도래 | 2025-04-22 |
2692282 | 도스상에서 생성된 exe파일에 press~ 뜨게 하기 (4) | 회사원 | 2025-04-21 |
2692256 | scanf("%*c"); ㅠㅠ 고수님들 | 거북이 | 2025-04-21 |
2692230 | 하노이탑 질문입니다. (1) | 미쁘다 | 2025-04-21 |
2692210 | 정보 올림피아드 문제인데.. 풀이 과정이 궁금합니다.(재귀함수) (5) | 물티슈 | 2025-04-20 |
2692144 | C언어와 리눅스에 대한 질문입니다. | 싴흐한세여니 | 2025-04-20 |
2692114 | 컨텍스트 스위칭하는데 걸리는 시간 측정.. | YourWay | 2025-04-19 |
2692086 | 간접참조 연산자, 증감연산자 질문이용! (2) | 블랙캣 | 2025-04-19 |
2692056 | 주석좀 달아주세요. 몇개적엇는데 몇개만달아주세요. (2) | DevilsTears | 2025-04-19 |
2691978 | 진수 쉽게 이해하는법... (3) | 지지않는 | 2025-04-18 |
2691949 | getchar() 한 문자를 입력받는 함수 질문 | 채꽃 | 2025-04-18 |
2691919 | 배열 정렬 및 합치기 질문입니다. | 사과 | 2025-04-18 |
2691845 | c언어왕초보 질문이 있습니다........ | 루나 | 2025-04-17 |
2691815 | void add(int num); 함수... (4) | 살랑살랑 | 2025-04-17 |
2691756 | 명령 프롬프트 스크롤바가 없어요 | 두메꽃 | 2025-04-16 |
2691725 | 자료구조에 관련해서 질문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 누리알찬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