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함수의 사용위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난길
free함수의 사용위치에 관한 질문입니다.메모리해제를 언제 해야하는가질문 내용 :
main()
{
char *cmd= srt()
}
char *str()
{
char *input;
a=(char*)malloc(sizeof(char)*3);
......
return a;
}
str 함수에서 문자열3개 받을만큼동적할당으로 생성하고
그 공간에 문자열을 저장한후 주소값을 리턴시켜 메인함수의 cmd로 복사한다고 가정할때
free(a)이것을 언제 해줘야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free(a);
return a;
라고 하면 a의 메모리가 해제되서 에러가 날것같은데 cmd에 저장이 되더라구요
이해가 잘 가지가 않습니다.
그리고 리눅스 좀 아시는분 계시면 기타게시판에있는거도 답글점 부탁드려요^^
-
지존
아 감사합니다 free(cmd); 이렇게하면 포인트를 따라가서 str함수안의 input의 메모리가 해제되는건가요?
-
아이뻐
main(){
char *cmd=str();
/* cmd를 사용하는 일*/
free(cmd);
}
구지비 free시킬려면 저쯤에서 시키시면 된다는걸거에요. -
마루한
죄송한데 제가 포인터네 약해서요..... 어떤식으로 받아서 해제해야되는지 알수있을까요?
-
스위트초코
예 어디서든지 포인터만 갖고있으면 free가 가능하지요..
-
민아
아 감사합니다 그럼 cmd가 필요하지 않을때면 main함수에서 cmd의 역할이 끝나야 free를 해주는데 함수안에서 말록으로 동적할당한걸 main에서 풀수있나요?
-
가든
메모리를 해제한다고 해도 물리적으로는 그 메모리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그 자리에 그대로 있게 됩니다.
하지만 또 다시 malloc를 사용하거나 다른 프로그램 실행에 의해 그 메모리가 사용되기 전까지는
그 메모리가 계속 유효하게 됩니다.
위의 프로그램에 경우에는 main 함수에서 cmd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때 free를 해야 맞습니다.
str 함수에서 free(a)를 한 다음에 a를 돌려주면 심각한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