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표준 기초질문????
큰나래
기초적인 부분이라고 하네요..
물론 여기서 제가 선뜻 대답할 수 있는 부분도 있고, 아닌것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하코사 고수님들의 콕 찝은 정확한 답을 알고 싶어서 질문 올렸습니다...
사실. 많이 쓰는 테이블 요소나 레벨 요소를 알지만, 그에 해당하는 정확한 속성이 헷갈리기도 하고요.
1.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Strict//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strict.dtd” 에서 root element는 무엇인가요?
2.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해 table 요소에 필요한 속성 1개와, 하위 요소 1개는 무엇인가요?
3.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 xml:lang=”ko”에서 xmlns 속성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4. div와 span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5.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에서 utf-8 또는 euc-kr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6. “label요소의 for속성과 연결되는 항목은 input /요소의 name 속성이다.” 맞을까요? 틀릴까요?
7. form action=”process.asp” method=”post”에서 method의 값으로 post 방식과 get 방식이 있습니다.
post와 get 방식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감사드려요.
하코사 여러분들.. 늘 좋은 답 주셔서 ㅠㅠ
-
도래솔
잘 보고 갑니다~
-
제미니
대단하신분들..ㅎㅎ
-
Creative
역시 프로그래밍쪽은 우리가 모르는 뭔가가 있다니까요.
내용 감사합니다.^^ -
동은
넵,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 저에겐 이런 하나하나가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
차분
get은 데이터를 쿼리(Query String, 환경변수)로 전달하고 post는 데이터를 표준입력(STDIN, Standard Input)으로 전달합니다. get에는 전달할 데이터의 용량제약이 따릅니다
get과 post의 보안성 논의는 별로 의미 없습니다. 둘다 맘먹으면 조작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
들찬
와.. 예상치 못한 답들도 있고,, 빠른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생각해보니.. 저같은.. 초보분들에겐 이런 간추린 문답있으면 좋을 것도 같네요^^ -
돋가이
몰랐는데 보고갑니다 감사
-
남
1. xhtml1.0 문서의 root element는 html이겠죠.
2. 접근성을 위한 table의 속성으로는 summary, 요소로는 caption 등이 있습니다.
3. xmlns는 경로가 지정하는 namespace 정의를 따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4. display 속성이 block이냐 inline이냐의 차이입니다. block요소와 inline 요소를 함께 묶을 경우에는 div를, inline 요소만 묶을 경우에는 span 요소를 사용하시 -
보미나
넵, 숙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나츠
제가 7번만~ ㅋ
get 방식의 경우는 주소창에 변수, 값들이 모두 노출이 되어서 보안에 상당히 취약합니다.
그리고 변조도 쉽게 가능하구요.
넘어가는 데이터 길이도 제한적이구요.
주소창이 드러워집니다.
반면에 post의 경우는 저것과 반대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