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체 포인터배열변수(?) 질문이요
희미해
이해가 잘안되서 자세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typedef struct
{
int RecordSize;
} FILE;
typedef struct
{
FILE* pFile[26];
} SHM;
SHM Shm;
#define MK_FILE(i)Shm.pFile[i]
#define MM_FILE(i,j) Shm.pFile[i][j]
#define MF_RECSZ(i,j) MM_FILE(i,j).RecordSize
이건데요.. 첫번째 매크로는 이해가 가거든요
MK_FILE(i)은 즉 구조체 FILE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거잖아요..
그럼 MM_FILE(i,j)에서인자(?)가 (i,j) 왜 두개인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MM_FILE은 구조체의 주소를 가지고있는데 왜 배열이 2개로 늘어나면서 멤버변수를 가리킬수있는지
이해하기 쉽게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
파란
자문자답은 아니지만.. 지식인에 올렸다가 받은 답변내용 도움이 될거 같아서 올립니다.
FILE *pFile[26];
이 의미는 26개의 배열이고 배열의 각 데이타는 (FILE *) 라는 의미입니다.
포인터는 주소라는 것은 알테고 사용법을 봐보죠.
1. Shm.pFile[i] ; 이건 포인터 이기때문에 구조체 변수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 사용합니다.
즉, Shm.pFile[i]-RecordSize;
그리고 포인터는 배열의 첫번째 항목을 가 -
빛다
저렇게 2차원배열로 선언이 되는거는 배열 포인터가 쓰이는뎅.. 흠 배열의 포인터배열인감..'ㅋㅋ
대게 FILE구조체의 변수가 char*식의 문자열을 가리키고 있다면 위의 분 말대로 배열포인터를 써서 글자하나하나를 가리킬 수 있는데 저건..흠.. 저거 #define하지말구 직접 함수로 정의해서 해보세요 되나 안되나;; 첨보는거네용 ㅠ -
큰재
이거 실행하면 되던가요..???
-
황소눈
pFile은 포인터 배열입니다.
그러니 각 포인터는 배열을 가리키고 있겠죠?
결국 i,j는 i번째 파일이름의 j번째 글자를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