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엘보어
배치 파일을 만들어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배치파일의 경우 다른 실행파일의 리턴값을 이용해서 핸들링이 가능합니다.
예를들어 IF test.exe = 0 THEN 이런식으로 test.exe의 실행결과값이 0이라면 어떤 처리를 해라..
그렇지 않고 -1이라면 어떤 처리를 해라... 처럼...
특정 파일의 실행결과값을 이용한 처리가 가능합니다.
(주로 dir이나 copy처럼 실행결과에 따른 처리가 필요할때 이용하겠죠)
하지만 대다수는 의미가 없기때문에 v -
레이
함수의 개념을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함수란 어떤 결과값을 갖게 되는데 이때 결과값은 해당 함수를 호출한 녀석에게 던져주게 됩니다.
main()의 경우도 main이라는 이름 옆에 괄호가 있기때문에 함수입니다.
그래서 메인함수라고 하죠.
그렇다면 메인이라는 녀석도 누군가가 호출했으니 실행되는것이겠죠?
즉, 그 누군가에게 결과값을 리턴하게 됩니다.
보통은 O/S가 됩니다. (쉽게 생각하시면 커널이나 쉘이라고 부르죠)
예를들어 DOS에서 test.exe -
유키
쉘로 넘길대 쓴다는게 무슨말이죠?ㅜㅜ 쓰지 말아야 할때 쓰면 에러나나요?
-
도손
소스 밑에 쓴다고 하시는것을 보니 main 함수에서 그런 것을 보셨나 보네요.
실행 시킨 운영체제의 쉘로 넘기는 값입니다.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고, 그 프로그램이 실행된 결과를 쉘로 넘길때 저런식으로 쓰게 됩니다. ㅎㅎ -
민트맛사탕
C소스라면 return 0 를 하시면 return false한 것만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보통 true = 1 false = 0 으로 define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다를 수도 있지만...
C에서는 while(1) 라기도 하고 while(true)하기도 하죠?
Java에서는 while(1)은 안되고 while(true)만 되죠?
보통 return 값이 = 0 다면 error를 0 면 정상적인 처리를 의미하죠
0 경우에는 함수의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