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형 li 마크업은 어떻게?
앤드류
2023.04.01
Table of ContentsIntroduction Purpose Glossary And more...
이런 방식의 문서를 만들려고 합니다.
h2Table of Contents/h2
ol
liIntroduction
ol
liPurpose/li
liGlossary/li
/ol
/li
liAnd more.../li
/ol
....
이런 방식으로 코딩을 해봤는데요.
여기서 마음에 걸리는 부분은 Introduction뒤에서 /li로 맺음을 하지 않고,
아래의 ol을 감싸도록 한 부분입니다.
li{margin-left:25px;} 와 같이 속성을 주었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으면 class를 따로 주어야 들여쓰기 처리가 제대로 되기 때문에 그렇게 했는데요.
이렇게 마크업하는게 정확한 방법일까요?이렇게 뭔가 작은부분 하나까지도 basic,standard하게 작업하고 싶을 때는 여러분은 어떤 문서나 웹페이지를 참조하시는지요?
-
나미
아 firstchild 로군요.
-
블레이
ul li 이놈만 동작을 해도 *_*;
-
큰아
ul li ul 이 나오고 가장 가까이있는 li 에만 속성이 먹히죠 안에 놈은 기냥 기본값 ㅋ
-
앤드류
첫번쨰 li 만 먹는거죠 ㅋㅋ
-
텐시
아 그런가요. ul li 가 먹는다면 어떻게 동작하는가요?
-
펴라
ul li 이거네요 ㅋㅋ 이놈이 안먹어서 ㅜ.ㅜ;
-
비마중
마음에 걸리셨던 부분은 맞게 하셨는데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