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유형 정의에 대한 궁금증
리라
책 읽으며 DTD해서 어쩌고 저쩌고.. 테이블에 너무 긴 시간 일상처럼 지내왔던지라 새로운걸 배우려니 보통 힘든게 아니네요..
몇 달..전부터..공부는 하는데 하다말고 하다말고 눈과 머리가 도통 소화를 못 해낸다는.. ㅠ_ㅠ
각설하고..네이버 고객센터 소스를 보면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ml lang=ko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이렇게 시작하네요... 문서 유형 정의(책에서 읽어 정확한 뜻은...대충만.ㅎㅎ)를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선언...
근데 네이버 메인 소스는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이렇게 틀리네요..왜 틀리는 걸까요 ?
그리고 저는 뭣도 모르고..그냥 일반적인 듯 한 dtd를 제작하는 곳에 - -반 무의식적으로 사용합니다 ㅠ_ㅠ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왜이렇게 틀리게 하는걸까요 ?
-
두메꽃
바뀔려고하는 과정 아닐까요;; 어마어마한 페이지들을 한번에 고칠라면;;
저기 작업자들도 고민이 많겟죠; -
남자
고겍센타 타입은 Doctype를 선언하나 안하나 저걸로 적용되는 고전(?)버전입니다.
박스모델이 브라우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좀 힘들죠(크로스브라우징이....)
아래 1.0 transitional은 현제 금지 되어있는
태그(속성?)들이 일부 적용되기 때문에 좀 쉽죠(크로스브라우징이...)
금지 목록은...정리 해본적이 없어서 패스...__)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