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보다 질문 하나 올립니다~
앤드류
안녕하세요.
날씨가 풀린다더니 엄청 추워졌습니다.
다들 감기 조심하시구요!
질문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요즈음 웹표준 공부를 위해 댄씨더홈이 지은 실용예제로 배우는 웹표준이란 책을 보고있습니다.
이책에서 6화 구문표현 엘레멘트에서 좀 이상한 점이 있어서 글을 적습니다.
em과 strong의 사용법에 대해서 나오는 부분인데..
책 페이지 119쪽에 보면 굵은 이텔릭체로 지정하는 경우 라는 예제가 나와있습니다.
대충 내용은 em태그와 strong태그를 이용하여 css로 이텔릭체면서 동시에 굵은 글씨체로 표현하는 법이 나옵니다.
이 부분에서 em태그와 css의 font-weight를 사용해 이텔릭체면서 동시에 굵은 글씨체로 표현하는 법이 나오는데요..
책에선 구지 span태그를 넣던가 em에 클래스를 먹여서 css를 적용하거든요..
근데 그럴 필요 없이
em { font-weight: bold;}
처럼 em에다가 바로 css를 적용하면 안되나요?
책이 없으신 분들을 위해 책 내용의 일부를옮겨보겠습니다.
목적은 굵은 이텔릭체로 재미있다 부분을 css로 꾸미는 것입니다.
책에선 2가지 방법을 제시합니다.
1. span태그 사용
마크업
-------------------------------------------------------------------
웹 표준으로 사이트를 만드는것은 emspan재미있다/span/em
-------------------------------------------------------------------
css
-------------------------------------------------------------------
em span { font-weight:bold; }
-------------------------------------------------------------------
2.클래스를 이용해 강조
마크업
-------------------------------------------------------------------
웹 표준으로 사이트를 만드는것은 em class=bold재미있다/em
-------------------------------------------------------------------css
-------------------------------------------------------------------
em.bold { font-weight:bold; }
-------------------------------------------------------------------그냥 em에다가 css값을 주면될것 같은데,
구지 span태그를 추가하거나 클래스를 추가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클래스를 추가하는 이유는 문서가 길어져
em값들이 많이 지면 클래스를 추가하여,
각기 관리한다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것 같은데..
span은 도무지 왜 제시했는지 이해를 못하겠습니다~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민G
깔페뎀 // 쿨럭 제말은 strong이 있는데 굳이 em으로 css를 작성해야할 필요는 없다라는 말이예요 ^^;;
-
찬늘
음...css 모든걸 해줘도 좋지만 굳이 스트롱이나 이엠태그를 쓰는 이유는 확장성과 시멘틱때문이죠
스팬태그는 의미없는 태그로 순전히 디자인을 위한거니까 -
빵야
em안에 span을 줄필요는 없습니다. 책이 정답은 아닙니다 ^^
여담이지만 em과 strong은 강조를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차이점은 이태릭이냐 볼드냐 차이입니다.
굳이 em을 font-weight를 사용해서 두껍게 나타낼이유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