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좀 풀어주세요~
겨울
두 문제 질문입니다~
1번
전역변수 int a,b 가 있는데요
a.c파일 에서 구현된 함수에선 a = 10 , b = a*3 을 연산하고요
b.c파일 에서 구현된 함수에선a = 10 , b = 30 을 출력합니다
여기서메모리의 상태변화과정을 그림으로 설명하라는데요,,
메모리쪽에 잼뱅이라서,, ㅠ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2번
char 1 byte 스택을 구현하고
Push A
Push B
스택의 내용 : A-B
pop : B
스택의 내용 : A
Push D
스택의 내용 : A-D
이게 대체 무슨 말이죠?ㅠ 설명좀 부탁드려요~
스택이가장최근에 들어간게먼저 나오는거라고는 살짝 이론적으로만 알고 있는데,,
저렇게 Push ,pop 으로 표현해노니,, Push 가 넣고pop 가 빼내는,, 즉 지우는건가요?
설명 부탁드려요~
-
슬우
음, 2번은 그냥 대략 생각한거랑 같네요
두문제 다 파일분할(?)이라고 해야되나,,
무튼 그런 문제라서,, 거의 함수나 통코드만 사용해서 질문해봤네요,,
1번은 시스템 체제상 변수가 잡히는 주소나 바이트 같은건데,,
파일 분할이 되면서 영역이 변경되서 잘 생각이 안가서 질문한거예요~ -
행복녀
1번- 이건 뭐라는건지 -ㅅ-;;
2번
char 1 byte 스택을 구현하고
Push A // A라는 내용을 스택에 넣는다
Push B // B라는내용을 스택에넣는다
스택의 내용 : A-B // 스택에는 A-B가있다
pop : B // 스택에서 하나를 가져온다(B가 나온다)
스택의 내용 : A // 말그대로..
Push D // D라는 내용을 넣는다
스택의 내용 : A-D // 스택에 A,D가있다
스택은 나중에 넣은것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