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운동과 견갑골의 관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튼동
보통 가슴운동을 할때 (ex 벤치프레스) 견갑골을 후인한 상태에서 이완시키고 수축을 시킨다고 배웠는데요
이완시에는 견갑골을 모아주면 최대이완이 되서 자극이 잘 오는 것 같은데 수축시에 견갑골을 모은상태로
수축을 하면 견갑골이 펴진상태에서 수축을하는 것보다 수축이 덜 되는(?)느낌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인터넷 블로그나 자료같은 것들은 견갑골을 뒤로 붙인 후 미는 동작에서도 견갑골은 고정된 상태로
팔꿈치를 미는 동작으로 하라고 나와있는데 이렇게 해도 수축이 잘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 케이블 크로스 오버같은 짜주는 동작을 실시 할때에도 견갑골이 뒤로 빠진상태에서 이완과 수축이 진행되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지금은 가슴을 더 모아주려고 이완시에는 견갑골이 -- 이런식으로 모이고
수축시에 견갑골이 - - 이런식으로 펴지면서 최대한 가운데 지점을 짜주고 있는데 가슴근육과 견갑골 관계가
정확하게 모르니 혼동이 와서 질문드립니다. 견갑골을 모으는것과 가슴수축이 큰 상관이 있는지요...?
또 케이블같이 짜는동작도 견갑골을 모으고 짜야하는지 여쭤봅니다.
-
리네
감사합니다 궁금했었는데 주위에 물어볼데가 없어서..^^
-
매1력적
그게 정석입니다. 무게를 지지하고 가슴에 자극을 주기위해서는 견갑골은 고정시켜야되요.
-
미투리
견갑골을 뒤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밀어도 최대수축이 가능한가요??
-
나려
팔꿈치로 밀어올린다는 느낌보다는 견갑골을 고정 시킨상태로 무게를 지지하면서 견갑골로 벤치를 밀어낸다는 느낌으로 바벨을 들어올려보세요.
-
보미
어려운 질문을 하셧네요...ㅋㅋㅋㅋ
글로적기 애매한부분이 많아서 풰스ㅠ -
다스리
벤치에 누어서 운동은 그렇고 케이블크로스오버류에서는 크게 지장없을거 같은데 저같은경우에는 고정하고 합니다^^
-
새누
답변감사드립니다 그렇담 견갑골을 뒤로 고정후 짜주는 동작으로 수축을 해도 괜찮다는 말씀이시죠??
-
그루터기
견갑골을 후인 시키면 가동범위가 늘어나는것때문에 말씀하시는거 가튼데 안전성으로 따지면 허리가 과신전대 담이 걸릴수도있고 어깨 유연성이 떨어지는사람에게는 후인해서 가동범위가 늘어난다해도 허리에만 부담되는 자세가 될수있겠져.결론은 견갑골 고정하시고 하셔도 충분할거 같네여^^;
-
다와
답변감사드립니다^^
-
솔잎
잘은 모르지만..
등운동을 제외하고는 견갑을 고정시켜야
여러모로 좋은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