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구조체 패딩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새콤이
패딩에대해 잘 이해가되지 않습니다.
구조체 변수가 Stack 메모리에 잡힐때, 좀더 빠른 메모리 접근을 위하여 각 변수는
Stack 의 주소값에 자신의 배수에 해당하는곳에 자리잡게 되고 그 사이는 패딩영역이 된다
여기까지는 이해가 되는데요...
그런데 패딩예중에 한가지 이해 안되는 게 있습니다.
struct PAD{
char ch;
double dbl;
int N;
};
위와 같은 구조체의 크기를 찍어보면 24 바이트가 나옵니다..
간단하게 그려보면
-------------
ch
-------------
패딩------------- dbl
-------------
N
-------------
패딩
-------------
책에는 위와같은 그림이 나와있는데요
N 변수 메모리 공간 밑에 패딩이 왜들어가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N 까지 메모리를 할당하고 난다음의 패딩은 왜 필요한가요??
그리고 또한가지궁금한 게 있는데요
위의 구조체를 예로들때에 어떻게 항상 ch 변수와 dbl 변수 사이의 패딩 크기가 7일수가 있을까요?
ch 변수의 시작주소가 상황에 따라 다를텐데 쉽게 예를들어 주소값을 10진수로 밨을때
ch 변수가 10001 일때부터 시작할수 있고, 아니면 10005일때 시작할수 있는데..
밑의 dbl 변수가 8의 배수 주소값에 위치 하려면 전자는 패딩값이 6이고 후자는 2 이면 되는거 아닌가요?
왜 항상 ch 변수와 dbl 변수사이의 패딩크기는 7 바이트 인거죠?
정말정말 헷갈리네요..ㅜㅜ
읽어 주셔서 감사하고 답변 부탁 드립니다.^^
-
각티슈
보통 C Memory Management 할때 globalcode, heap, stack 이 정도의 지식이면 되는 줄알았는데, 알아야 될게 또 있나보네요 ㅠㅠ ~~~ 저두 찾아 봐야겠어요
-
지음
움 전 첨듣는 말인데..ㅡㅡ; 좀더 공부해야할듯...
-
리리
kldp 에 가 보시면.... 패딩에 관련된 이야기가.. 아주 긴 스레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kldp 에서 검색해 보시면.. 좋은 자료를 찾을 수 있을듯 합니다. ^_^ -
타키
패딩영역에 대해서 알필요가 있을까요? 그다지.. 언급되지 않는 개념인데요. 실무에서도 전혀 몰라도 되는 개념입니다. 알면 좋겠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