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미
헉..좌절에 이은 오타가..ㅡㅡ;;
-
로운
헐 저 유부남이랑 묶지말아주세요 !
-
해뜰참
용훈민은 용훈 + 정민 인가요?
-
곰탱이
ㅋㅋㅋ 좌절모드시군여 orz...
-
무들
장문의 글을쓰다 한순간 날아가니 기력이 딸려서 다시 못쓰겠네요...
용훈민의 설명에 한표~ -
푸른들
표준 : 규격(dtd)에 맞게
크로스 브라우징 : 브라우저에 상관없이 같은 화면
접근성 : 장애인 뿐만 아니라 기기(프로그램)도 포함 (semantic 의 확장 개념)
표준과 접근성은 html 문서에 초점을 맞추지만
크로스 브라우징은 화면에 초점을 맞춥니다.
표준을 지켜야 semantic 하게 html 문서를 만들 수 있고
semantic 하게 만들어야 접근성이 향상되고
IE 계열 제외한(특히 IE6)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크로스 브라우징도 쉽게 할 -
나리
쉽게 풀어서 설명하자면
웹표준은 모든? 여러? 브라우저에서 올바르게 웹을 표현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하는 것이고,
웹접근성이랑 장애인들도 웹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
하양이
표준은 표준이고 접근성은 접근성이고 관계있지만 관계없을지도 모르고;;
머 어떤 분들은 표준을 시멘틱하고 연결해서 말씀하시는분도 있는데
벨리데이터는 시멘틱을 체크하진않죠 표준만체크하고 고로 서로 다르지만 밀접한 관계를 가진 놈들이라고 하죠
머 대충 그런상태예요. -
어둠
웹표준은 정해놓은거고.. 웹접근성은 우리가 생각해서 작업해야 하는것..
이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더 많은게 있겠죠 검색하면 많은게 나와요 ^^ -
레오
전기코드의 220v가 표준인것처럼 웹에도 표준이 있는것이고,
접근성은 장애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이가 평등한것을 말하는것 아닐까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