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 과 li태그사이에 p태그를 넣었는데.. 웹표준에 어긋나는 코딩방법인가요??
Isolation
ol id=document_sub
p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p
li①서비스를 의미합니다. /li
li②이용하는 고객을 말합니다. /li
li③숫자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li
li④비밀보호를 위해 조합을 의미합니다. /li
li⑤제반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li
li⑥가상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li
li⑦동영상 등의 정보 형태의 글, 사진, 동영상 및 각종 파일과 링크 등을 의미합니다. /li
/ol
ol 과 li태그사이에 p태그를 넣었는데.. 웹표준에 어긋나는 코딩방법인가요??
아래처럼 div로 감사서 처리도 가능하지만 코드량을 최대한 줄이고 싶어서요.. 위에처럼 코딩을 했는데..
웹표준 큐약에 어긋난 코딩법인지 하코사 회원님님의 답변좀 부탁드릴께요 ^^;;
div
p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p
ol id=document_sub
li①서비스를 의미합니다. /li
li②이용하는 고객을 말합니다. /li
li③숫자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li
li④비밀보호를 위해 조합을 의미합니다. /li
li⑤제반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li
li⑥가상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li
li⑦동영상 등의 정보 형태의 글, 사진, 동영상 및 각종 파일과 링크 등을 의미합니다. /li
/ol
/div
-
핑크빛입술
뎃글 감사합니다!!
-
가온길
아래의 파란색으로 써 놓은 형식으로 하시면 될듯합니다.
id값을 달라야 겠죠? ^^ -
치리
표준에 어긋난다기 보다
문법에 어긋났다는게 맞을듯...
그리고 리스트에 순번을 사용하실거면
ol 보다는 ul 태그를 이용하심이 나을듯해요..
지금 상황은 css를 빼고 보시면 순번이 중복되거든요!!
아니면 순번을 bg로 처리하신다면 ol을 쓰셔도 무관하겠죠~ -
과꽃
혹 포지션 때문이라면
p id=\document_sub\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p
ol id=\document_sub\
이렇게 하시고 p에 position:relative; 줘서 원하는 위치로 하시면 될듯.
아니면 margin-top:-100px; 이라던가 margin-left:-100px; 주셔도 되구요. -
가든
html스팩을 한번쯤 찾아서 읽어보시는것도 나쁘진 않아요.
-
남천
id 중복부터 걸릴꺼같습니다.
-
다흰
validator 돌려보면 바로 답 나오실텐데요 :)
ol은 오직 li만을 자식노드로 취할 수 있습니다